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도 직장인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일까?

by 89년생 2024. 5. 21.

 

나도 직장인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일까?

직장인도 일정 수준의 근로소득 외 소득이 있으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별도로 신고해야 합니다. 또한, 지난해 중도 퇴사한 분들이나 퇴사 후 미취업 상태이거나 사업을 시작한 분들도 5월에 직장인 시절의 세금 정산을 마무리해야 합니다. 직장인의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이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직장인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1.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지난 해 1년 동안 발생한 여러 종류의 소득을 합산해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경제적 부담 능력에 맞춘 공평 과세를 실현하고, 수입의 변동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소득을 포함합니다:

  • 이자 소득
  • 배당 소득
  • 사업 소득
  • 근로 소득
  • 연금 소득
  • 기타 소득

이들을 모두 합산한 금액을 과세표준으로 삼아 세금을 부과합니다. 과세표준에서 각종 공제를 제외한 후 세율을 적용해 납부할 세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신고할 필요가 없는 경우:

  • 전년도 소득이 0원인 경우
  • 회사에서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연말정산 시 처리)
  • 퇴직소득이나 연금소득만 있는 경우 (각각 퇴직소득세, 연금소득세로 정산)

종합소득세란?

 


2. 직장인 종합소득세 대상

1) 근로소득 외에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

근로소득 외에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등이 있는 경우, 이들을 모두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2) 2인 이상으로부터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2인 이상으로부터 근로소득, 공적연금소득, 퇴직소득 또는 연말정산 대상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에도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3) 원천징수의무가 없는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원천징수의무가 없는 근로소득 또는 퇴직소득이 있는 경우에도 신고 대상입니다.

4)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

중도 퇴직 등으로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직장인 종합소득세 대상

직장인 퇴사 후 종합소득세 신고

1) 퇴사 후 미취업 상태인 경우

퇴사 시점에 회사에서 퇴직자의 연말정산을 간략하게 처리하지만, 퇴사 후 미취업 상태라면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공제받지 못한 부분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자료는 이전 직장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입니다.

2) 퇴사 후 사업을 시작한 경우

퇴사 후 사업을 시작해 한 해 동안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함께 발생한 경우,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두 소득을 합산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를 이용해 신고할 수 있으며, 사업소득과 근로소득 모두를 합산해 신고해야 합니다.

 

직장인 퇴사 후 종합소득세 신고

마무리

이상으로 직장인의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무대리인을 통해 신고할 수도 있지만, 홈택스를 이용해 직접 처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연말정산 불러오기 기능을 통해 기본 공제사항을 적용하고 보험료, 의료비, 신용카드 사용액 등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을 입력하면 많은 경우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도 퇴사한 분들도 해당된다면 반드시 세금 정산을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반응형